01
					소변검사
					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소변 내의 염증 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.
 
					요도염이 동반된 경우나 부고환염이 심하면 소변검사에서
 
					염증세포가 검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또한, 균 배양검사를
					통해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균 확인이 가능합니다.
					
					02
					PCR 검사
					성적으로 왕성한 20~30대에서는 성접촉 이후 급성 부고환염이
					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즉, 성관계를 통해 임질균이나
 
					클라미디아와 같은 성병균이 급성 부고환염의 원인도
 
					될 수 있는 것입니다. 이러한 균들은 일반 배양검사로는
					검출이 되지 않으므로 PCR 검사가 필요하고, 이를 통해 정확한
 
					균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항생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.
					
					03
					혈액검사
					급성 부고환염의 경우 고환의 통증과 부종 외에도 고열, 오한,
					무력감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, 이러한 전신 증상은
 
					혈액검사(CBC)를 통해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치료 후에
 
					호전되는 정도도 알 수 있습니다.
					
					04
					도플러 초음파 검사
					도플러 초음파 검사는 급성 부고환염을 진단하는 데
 
					아주 유용한 검사입니다. 환자의 호소하는 증상과
 
					진찰만으로는 정확히 아픈 부위가 고환인지 부고환인지
 
					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고, 드물게는 고환의 악성 종양을
 
					급성 부고환염으로 잘못 오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
 
					위해서는 초음파 검사가 필수적입니다.